서 휘

豆满江

<p class="ql-block"><br></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서휘 생애</p><p class="ql-block"><br></p><p class="ql-block"> 1916년 4월 10일, 평안북도 박천군 박천면의 농촌 교사 집안에서 태어났다. 1924년에 소학교에 진학했으며, 1930년에 졸업했다. 집안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서울의 고등보통학교에 진학하였으나, 1932년에 일본인 교사 및 교장에 반대하는 학생운동에 참여했다가 퇴학당하고 1932년 4월에 만주로 이주하여 조선인 혁명가들의 학교에 입학, 항일운동에 투신하였다. 1933년 중국공산주의청년단에 입단하였으며, 1935년까지 공청당원으로 복무하다가 1935년에 중국공산당에 가입했다.</p><p class="ql-block"> 1936년 중국공산당에 입당하였으며, 이 무렵 시안西安에서 머물며 중국국민당의 장쉐량张学良이 이끌던 부대에 참여하였다. 그 후 서안 사건에 참여하였고, 장제스蒋介石의 경호원들을 무장해제시키는 임무를 맡았다. 이후 중국공산당의 근거지인 옌안延安으로 가게 되었다. 1939년에는 항일군정대학 적공훈련반의 주임을 맡게 되었다. 이후 조선의용군에 참여하여 옌안과 태항산 등 팔로군 근거지에서 활동하였다. 1943년 8월에는 화북조선독립동맹 옌안지부의 일원으로 활동하였고, 8.15 광복이 된 후 1945년 말 입북하였다.</p><p class="ql-block"> 1947년부터 1950년까지 연안파 동료들과 함께 소련 모스크바 고급당학교에 유학하였다. 1950년에는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을 역임하였다. 한국 전쟁 당시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부국장으로 전쟁에 참여하였다. 1953년 10월에는 조선직업총동맹 부위원장을 역임하며 노동자들을 통제하고 사상교육을 하고 현안을 논의하였다. 같은 달 제3차 세계노련대회 및 국제농민노동자직업동맹대회에 조선직업총동맹 대표단으로 참가하였다. 1955년 10월 국가검열부상을 맡았다.</p><p class="ql-block"> 1956년 4월 노동당 3차 대회에서 중앙위원에 선출되었고, 같은해 8월 조선직업총동맹 위원장을 맡았다. 1956년 8월, 김일성이 동유럽 공산권 국가로 순방을 나가 있는 동안 북한에서는 평양예술극장에서 전원회의가 예정되어 있었다. 연안파에 속하던 부주석 최창익을 비롯한 세력은 이 회의에서 김일성개인숭배를 공개적으로 비판하여, 주석직에서 물러나게 하려했으나 결국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김일성 실각을 위한 공개적 도전을 시도하나 실패하고 서휘는 윤공흠, 리필규, 김강 등의 연안파 인사들과 함께 중국으로 망명하였다. 같은 해 서휘는 출당·철직당하였고 중국에 정착하였다.조선로동당 1956년 9월 전원회의에서 일시적으로 당적이 회복되었으나 1958년 3월, 1차 당대표자회 이후로 다시 당적이 박탈되었다.</p><p class="ql-block"> 1993년 시안시에서 머물던 그는 병으로 인해 사망하였다.</p> <p class="ql-block"><br></p><p class="ql-block">1991년 6월 서안에서 전우들과의 만남.부채를 쥐고 뒤모습의 서휘와 그옆의 강진세 ,김충록,김학철.</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