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녀자는 안해로 강해지고 어머니로 위대해진다” ‍ㅡ 2 0 2 5. 1. 7 ㅡ

扶宣(拒私聊)

<p class="ql-block"><br></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 어머니 자서전 제목이다. 해마다 한 해가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저무는 12월 말일이면 이 제목이 떠올려</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진다. 어머니는 이 제목처럼 안해로 강하</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게 사셨고 어머니로 위대함의 정상에 우뚝 섰다. </span></p><p class="ql-block"><br></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 2010년 8월 어머니의 자서전이 국제문</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화예술협회로부터 “허난설헌 문학상”을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수상했다. 수상하기에 앞서 2008년 한국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열린문학” 논픽션 부문 최우수 당선작으</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로 당선되였다. “열린 문학”이 밝힌 당선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리유다.</span></p><p class="ql-block"><br></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 “방채봉 녀사는 독립 운동가였던 할아버</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지, 일본헌병대의 숱한 매질과 고문을 당</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했던 아버지의 비극적인 운명, 장티푸스로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세상을 떠난 어머니, 어린 나이로 세상을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등진 오빠 등, 련이은 수난의 가족사를 으</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면서 할머니 손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야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했다.</span></p><p class="ql-block"><br></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 방채봉 녀사의 파란만장한 삶의 드라마</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는 우리민족의 수난사와 흡사하다고 할까.</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 그런 견지에서 본다면 방채봉 녀사의 수</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난사는 우리 민족의 혈투사의 축도라고도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볼 수 있을 것이다. </span></p><p class="ql-block"><br></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 가냘픈 녀인으로 극복하기 힘든 수많은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역경과 좌절을 딛고서 일어선 오뚝이 같은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삶은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극기와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인내로서 어려움을 슬기롭게 이겨나갈 수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있는 지혜와 용기를 주는 등, 많은 교훈을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담고 있다.”</span></p><p class="ql-block"><br></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 파란만장한 삶의 드라마가 서서히 막을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내리기 시작할 때 어머니가 병상에서 나를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보고 하신 말씀은 딱 세 마디였다. 첫 말씀</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은 “뭘 이렇게 많이 사가지고 오냐? 다음</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에 올 때는 빈손으로 오너라. 네 얼굴만 보</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면 된다.”</span></p><p class="ql-block"><br></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 맏이인 나는 삼형제중 유일하게 로임 봉</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투에 매달려 산 월급쟁이다. 명절이나 부</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모님 생일이나 또 직장에서 이것저것 나누</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어 주면 그냥 들고 찾아가면 어머니가 곱</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씹는 말씀이 “돈 많이 팔았겠구나, 힘든 신</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세에. 다음부턴 빈손으로 오너라”이다.</span></p><p class="ql-block"><br></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 귀가 할 때면 내가 좋아하는 된장국을 싸</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주면서 꼭 택시타고 가라고 기어코 내 손</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에 돈 백 원, 2백 원을 쥐여준다. 그러면서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또 하시는 말씀. “못된 세월을 만나 15살</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에 농촌에 간 너한테 내가 용돈 한번 푼푼</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이 주지 못한 것이 지금도 속에서 내려가</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지 않는다.”</span></p><p class="ql-block"><br></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 두 번째 말씀은 “훈이야 네가 오면 맛있</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는 것이 정말 많다”이다. 병상에 누워서 하</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신 어머니의 이 한마디에 나는 동년시절로</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돌아간다. 동년시절 어머니가 퇴근하시면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나는 어머니가 든 가방부터 본다.</span></p><p class="ql-block"><br></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 가방에서는 꼭 맛 나는 과일이나 과자,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사탕이 나온다. 그래서 “엄마가 퇴근하면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맛있는 것이 꼭 있다”는 말이 생겨났다.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어머니 역시 이제는 맛있는 것을 기대하던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동년시절로 돌아가고 있었다.</span></p><p class="ql-block"><br></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 세 번째 말씀은 “너는 훈이!”라고 곱씹는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말씀이다. 기운이 없어 그냥 두 눈을 감고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계시다가 내가 어머니 손을 잡아 쥐면 눈</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을 뜨시는데 입가엔 인차 웃음이 피여 오</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른다.</span></p><p class="ql-block"><br></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 “제가 누굽니까”하고 물으면 한 손을 겨</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우 올려 나를 가리키면서 련신 하시는 말</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씀이 바로 “너는 훈이! 너는 훈이!”다. 이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말씀은 어머니가 남긴 마지막 말씀이다.</span></p><p class="ql-block"><br></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 먼 길 떠나시기 전까지 어머니는 맏아들</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의 이름을 잊지 않으셨고 맏아들의 모습을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눈에 담고 길을 떠나셨기에 가시는 길에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외롭진 않으셨을 것이다. 모정의 세월은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비록 막을 내렸어도 어머니는 여전히 위대</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함의 정상에 서 계신다. 김영건 시인의 시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엄마의 저녁밥"으로 이 글을 마무리한다.</span></p> <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서녘 아궁이에</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선홍빛 노을이 타오른다</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밥솥에 모락모락 밥냄새</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옹기종기 산머리들배고파 </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숨 고른다</span></p><p class="ql-block"><br></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까만 뚜껑 열어버린 밤하늘</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익어터진 하얀 별밤</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허기진 그리움 퍼 담노라</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밥죽모양 큰곰자리</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칠성별 한창 바쁘다</span></p><p class="ql-block"><span style="font-size:22px;"> /勋之页</span></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