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찍쓰췬 19년10월 디카시수상작

김춘희(상해)

<p>우리민족문학사랑방》</p><p>10월 디카시 수상작 발표&nbsp;</p><p>•••••••••••••••••••••••••••••••••••</p><p>10월 총 출품 수: 202 점&nbsp;</p><p>대상&nbsp;하나 (미국)</p><p>금상&nbsp;조문찬&nbsp;</p><p>은상&nbsp;박춘혁,&nbsp;리준실&nbsp;</p><p>동상&nbsp;설야, 장두인, 김성자&nbsp;</p><p>가작&nbsp;김춘산, 최정실, 정이가,</p><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이점숙, 최옥란&nbsp;</p><p>심사위원 :</p><p>한국디카시연구소&nbsp;</p><p>대표 시인 : 이상옥&nbsp;</p><p>&nbsp;&nbsp;&nbsp;&nbsp;&nbsp;&nbsp;&nbsp;시인:&nbsp;이기영</p><p>&nbsp;&nbsp;&nbsp;&nbsp;&nbsp;&nbsp;&nbsp;시인: 다람 강성은&nbsp;</p><p><br></p><p>《 대상 》</p><p>이어달리기&nbsp;하나 (미국)/10.21</p> <p>디카시 관련 칼럼</p><p><br></p><p>명상으로 본 디카시 (9)</p><p><br></p><p>명상을 반복적으로 하다 보면 &lt; 집중력의 힘&gt;을 만들수가 있다.</p><p>특히 디카시를 창작하기 위해서는 순간적으로 느끼는 감정을 체계적으로 집중하여야 한다.</p><p>주의집중력은 의미정보를 통해 신경망을 만들고 이것을 기억하는 데 필요한 핵심 요소다.</p><p>배우고 있는 것에 집중하더보면 뇌에는 집중하고 있는 정보의 길이 만들어 진다.</p><p>반대로 현재 하고 있는 일에 완전히 집중하지 않으면 그 일을 방해하는 신경회로가 자극된다.</p><p>디카시는 무엇보다도 사물을 바라보는 그것을 디카에 옮기는 작업이고 또한 그것을 통하여 한 몸을 만드는 독특한 극순간예술 작업 행위이므로 더욱 집중력을 필요로 한다.</p><p>주의집중 없이는 신경회로가 만들어지지 않고 기억도 저장되지 않는 것이다.</p><p>특별히 극순간집중작업은 디카시나 행위예술 에서는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p><p>주의집중의 정도가 강해질수록 뉴런(※.뉴런이란 뉴런은 전기적 및 화학적 신호를 통해 정보를 처리하고 전송하는 전기적으로 흥분시키는 세포입니다)들이</p><p>주고받는 신호의 강도가 강해져 신경망이 더 활발하게 활성화된다.</p><p>주의집중은 신경세포의 일반적인 활성화의 역치(※.역치란 최소한의 자극위치)를 뛰어넘을 정도의 강한 자극을 만든다.</p><p>타인의 디카시를 많이 읽고 보고 느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p><p>명상을 통하여 보는 또는 창작하려는 작품들 속에 완전히 몰입하고 그 느낌에 동화될 수 있는 훈련을 할 수 있다면 나의 뇌가 언제든지 주변의 소리들을 차단하고 오로지 내가 선택한 사물에 대하여 온전히 몰입되어 보고,찍고,쓰면서 기억속에 잠재되어 있는 현상들과 기억, 지식등을 불러내어 좋은 디카시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p><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lt; 시인: 다람 강성은 &gt;</p>